프로젝트 3

[프로젝트] AWS WAF를 통한 웹 공격 방어(2)

이전 게시글에서는 AWS WAF의 개념과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룰(Managed Rule)을 활용하여 SQL Injection과 XSS 공격을 차단하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AWS WAF를 통한 웹 공격 방어(1)AWS WAF란 Amazon CloudFront 배포, Amazon API Gateway API,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에 전달되는 HTTP(S) 요청을 모니터링하고 필터링할 수 있게 해주는 웹 방화벽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문자열이나 IP주소를 차rybbit-life-debugging.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아래와 같은 실습을 진행해보려 합니다. 1. custom rule을 작성해, 국가별 또는 User-..

[프로젝트] AWS WAF를 통한 웹 공격 방어(1)

AWS WAF란 Amazon CloudFront 배포, Amazon API Gateway API,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에 전달되는 HTTP(S) 요청을 모니터링하고 필터링할 수 있게 해주는 웹 방화벽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문자열이나 IP주소를 차단하는 정책을 설정해 두면, 기본적으로 HTTP 403 상태 코드(금지됨)로 응답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요청이 차단될 때 사용자 지정 오류 페이지를 반환하도록 CloudFront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WAF 실습본 실습에서는 CloudFormation을 통해 웹 공격에 취약하도록 의도된 web application(DVWA)와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고, 웹 공격 시 AWS WAF를 통해 공격에 방어하는 체계를 구성할 예정입..

[프로젝트] PE 악성코드분석 및 탐지를 위한 Snort 룰 작성

1. 프로젝트 소개snort 기반 악성코드 탐지 패턴을 개발하기 위해, 네트워크 행위를 하는 악성코드 샘플을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된 내용을 악성코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악성 트래픽을 탐지하기 위한 보안관제 환경을 구축하고 snort룰을 적용하여, 악성 네트워크 행위를 탐지하는 실습을 수행하였다. 2. 프로젝트 회고2.1 악성코드 분석 업무에 대한 자신감악성코드 샘플링, 악성코드 기초/정적/동적 분석, snort 룰 작성등의 전반적인 과정등을 수행하면서 실무에서도 악성코드 분석 업무를 빠르게 숙지할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2.2 신속한 분석의 중요성악성코드 분석도중 악성코드의 네트워크 행위가 중단되어 다시 새로운 악성코드 샘플을 수집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악성코드 분석 업무에서..